PRODUCTS

 
  • 버섯 장조림
  • 버섯 장아찌
  • 버섯 포
  • 효 소
  • 장뇌삼/산양삼
  • 청정 약초
  • 한방 달인 차
  • 판매상품 안내
    • 효소음료
    • 건강식품
    • 기능상품
    • 일반상품
산삼[山蔘]의 효능

산삼의 향기성분은 파나센(Panacene)이라는 정유물질로 여러가지 복합성분 이며
그 성분이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산삼의 향기성분은 낙엽이 썩은 부식토와 관련이 깊다. 
나뭇잎이 썩어 발효하면서 좋은 냄새를 내뿜는데 이것은 여러 화합물질이
화학반응을 일으키면서 생기는 것이다. 

산삼의 향기성분은 피나무 참나무 오리나무 등 활엽수들이 썩어 발효할 때 생기는
향기를 흡수한 것으로 짐작된다. 
더덕이나 잔대 무같은 것도 낙엽 썩은 것을 거름으로 해서 키우면 맛과 향이 훨씬 좋아진다. 

산삼의 약효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부분이 전설에 가려져있다. 
실험하기 어려운 까닭에 과학적으로 밝혀진 것이 별로 없다. 
러시아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산삼은 인삼보다 약효가 월등하게 높다. 

어떻게 실험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피로회복 효과가 인삼이 124%, 산삼은 136%였으며
인삼을 먹인 쥐의 수영능력은 156%였고 산삼을 먹인 쥐는 210%, 장뇌삼을 먹인 쥐는 167%로 나타났다고 한다. 
이는 삼을 먹이지않은 쥐를 100%로 한 것에 대한 수치다. 

산삼은 기사회생의 영약으로 알려져왔다. 
숨이 막 넘어가는 환자가 산삼을 먹고 다시 살아나서 수십년을 더 살았다는 얘기를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다. 
반대로 산삼을 먹었으나 별 효과를 못봤다는 사람도 더러 있다. 

산삼을 먹고 나병을 고쳤다는 사람도 있고 당뇨병 성병 아편중독 고혈압 간경화 등을 고쳤다는 얘기도 있다. 
대개 산삼을 먹으면 평생 추위를 타지않아 겨울철에 홑옷만 입어도 추위를 모르고
눈이 밝아져서 안경을 쓰던 사람이 안경을 벗는다고 한다. 

산삼을 먹으면 취하여 몸에 열이 나서 화끈거리거나 맥이 빠져 나른해지고
의식이 희미해져 판단력이 없어지거나 황홀한 기분이 드는 등의
여러 증세가 나타나는데 이를 명현반응이라고 부른다. 

`본초강목'에는 산삼을 먹고 황홀해진 기분을 장자(莊子)의 표현을 빌어
`무하유지향(無何有之鄕)'이란 말로 표현했다. 
산삼의 수효는 무한정이지만 이제는 지극히 희귀해졌다. 
멸종됐다고 하는 사람도 있으나 거의 멸종직전에 다다른 것으로 보인다. 

산삼을 캐냈다 하더라도 주변에 잠을 자고 있는 산삼이 있을 수 있고 또
산삼씨앗이 땅에 떨어져서 2~5년쯤 뒤에 싹이 나는데 이런 것들이 산삼의 멸종을 막는 요인이 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짜 천종산삼은 한해에 기껏해야 10뿌리쯤 채굴되고 있을 뿐이다. 

산삼씨앗을 산속 그늘에 심어 자연상태와 별로 다름없이 키운 것을 장뇌삼,
혹은 산양삼이라고 한다.  장뇌삼은 형태와 효능이 산삼에 거의 가깝다. 
지금 강원도 경상북도 경기도 전라북도 등 산간 오지에 장뇌삼을 재배하는 사람이 대략 400명쯤 있다. 

장뇌삼의 재배역사는 퍽 오래됐고 4대에서 5대에 걸쳐 100년 이상 묵은 장뇌삼을 키우는 사람도 있다.
100년이상 묵은 장뇌를 자연삼인 천종(天種)에 견줘 지종(地種)이라 부르며 매우 귀하게 여긴다. 
장뇌삼은 인삼과는 전혀 다르나 여러모로 산삼을 빼닮았으며 값은 천종의 10분의 1이하다. 

장뇌삼은 산삼과 마찬가지로 생육환경, 지역에 따라 뿌리의 생김새가 약간씩 다르다. 
강원도 화천이나 양구 등 북쪽지방에서 자란 것은 뿌리가 가늘고 길며 흰빛이 나는 것이 특징이고
삼척이나 평창 등 약간 남쪽지방에서 자란것은 뿌리가 굵고 노란빛이 난다. 

장뇌는 대개 15년 넘게 자란 것이어야 약으로 쓸 수 있으며 25년에서 30년 쯤 묵은 것이어야 제대로 약효가 난다. 
요즘은 백두산에서 난 것이 더러 들어오는데 향기나 약효가 훨씬 떨어진다. 

- 중앙일보 연재 본초이야기중에서 -

 
   
 
 


Copyright ⓒ NTF SamSong Food Corporated. All rights reserved.Designed by IN-BEST